728x90

엑셀, 한글 문서 목록 삭제에 앞서, 작업 표시줄 끄기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MS 워드는 엑셀과 동일하게 적용하시면 됩니다.

포스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작업 표시줄 끄기

2. 엑셀 문서 목록 삭제

3. 한글 문서 목록 삭제

작업 표시줄 끄기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 실행 후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누르면 최근 문서 목록의 확인이 가능합니다.

컴퓨터 작업 표시줄에서 문서 목록이 나오지 않게 설정해 보겠습니다. 윈도우 키를 클릭하고 위의 톱니바퀴 모양(설정)을 선택합니다.

설정 화면이 나오는데요. 아래의 개인 설정을 클릭합니다.

시작 탭을 누르시고, 아래쪽의 시작 메뉴의 점프 목록, 작업 표시줄 또는 파일 탐색기 즐겨찾기에서 최근에 연 항목 표시를 비활성화(끔) 시키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작업 표시줄에서 문서 목록이 없어졌습니다.

엑셀 문서 목록 삭제

엑셀 프로그램 홈 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최근 항목으로 확인입니다.

 

엑셀 문서 목록은 삭제 방법은 전체 문서 목록을 삭제하는 방법과 각각 한 개의 문서를 삭제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로 개별 삭제하는 방법인데요. 문서 항목에서 삭제할 문서에 마우스 커서를 옮겨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아래와 같이 목록에서 제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복사본 단가산출 파일이 목록에서 제거되었습니다. 위의 그림과 다른 점은 한 개의 문서가 목록에서 제거되면서, 그 이전 파일(날짜순)이 새롭고 제일 아래쪽에 생성되었습니다.

두 번째는 전체 삭제하는 방법인데요. 엑셀 문서 작업을 많이 했는데, 급하게 문서 목록을 한꺼번에 지워야 할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홈 화면에서 오른쪽 아래쪽의 추가 통합 문서를 클릭합니다.

최근 항목 이외에 추가로 통합 문서가 목록이 검색되는데요. 파일 위에 커서를 놔두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고정되지 않는 항목 지우기를 클릭하시면 전부 삭제가 됩니다.

아래와 같이 최근 항목들이 전부 다 삭제되었습니다.

 

참고로 특정 문서에 아래와 같이 목록에 고정을 해놓으면 이 고정 문서 목록을 제외하고 기록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목록에서 제거 이외에 옵션 > 고급 > 표시 > 표시할 최근 통합 문서 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하면 통합 문서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다만, 다시 문서 수를 입력하면 최근 항목이 보입니다.


한글 문서 목록 삭제

한글 문서 목록 삭제는 앞서 설명드렸던 작업 표시줄이 안 보이게 설정한 다음 아래의 문서 목록 삭제를 하시면 됩니다.

한글 프로그램에서 좌측 상단의 파일 탭을 클릭하면, 아래로 최근 작업 문서가 최대 9개까지 나옵니다.

한글 최근 문서 목록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도구 탭에서 >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환경 설정화면 나오는데요. 기타(1번) > 검색 기록 지우기(2번)를 클릭합니다.

검색 기록 지우기 화면에서 최근 작업 문서(4번)에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지우기(5번)을 클릭합니다.

끝으로 검색 기록 지우기 창이 생성되는데, 지움(6번)을 클릭하시면 삭제가 끝납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sanae_art/222884165960

728x90
728x90

머리글/바닥글 다르게 설정하고 싶은 페이지 - 이전 페이지

레이아웃 - 구역 나누기 - 다음 페이지부터

 

머리글/바닥글 다르게 설정하고 싶은 페이지

머리글/바닥글 - 이전 머리글에 연결 해제

 

참고 : https://m.blog.naver.com/rich_wood/221081810140

참고 : https://blog.naver.com/sunnietran/220719855909 

728x90
728x90

해당 기능은 개별 문서 하나씩 처리하는 방법이므로 여러 문서를 한꺼번에 합칠때는 한글 매크로 이용 필요

https://u0rak.tistory.com/entry/%ED%95%9C%EA%B8%80-hwp-%EC%97%AC%EB%9F%AC-%EB%AC%B8%EC%84%9C-%ED%95%A9%EC%B9%98%EA%B8%B0

 

엑셀도구 - 한글 hwp 여러 문서 합치기 병합 매크로 생성

문서들을 병합할 빈 한글 문서를 하나 만든다. 메뉴 중 [도구] - [스크립트 매크로] - [매크로 실행] 을 누른다. 이미 등록된 매크로 중 사용하지 않는 매크로를 선택 후 왼쪽 아래 펜 모양 버튼을

u0rak.tistory.com

 

협업을 통해 하나의 통합 문서를 만든다면 나중에는 하나로 합쳐야 합니다. 이때 일일이 열어서 붙여넣기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한글에는 끼워 넣기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 문서를 작성하기 전에 동일한 서식을 사용해서 작업을 해야 합쳐도 문제가 없겠죠. 현재 문서에 맞게 글자 모양이나 문단 모양을 유지하도록 옵션을 조절할 수도 있지만 완벽하지 않습니다.

 

 

 

 그림처럼 2개의 문서가 있다고 합시다. 1번을 2번 문서 마지막에 끼워 넣어야 합니다.

 

▼ 먼저 2번 문서로 가서 상단 입력 탭 오른쪽 목록 화살표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문서 끼워 넣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또는 단축키 Ctrl + O 를 누르셔도 됩니다

 

▼ 화면에는 일을 선택할 수 있는 대화상자가 뜹니다. 끼워 넣고 싶은 파일을 선택한 뒤 오른쪽 상단에 있는 "넣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문서 끼워 넣기" 대화상자 하단에는 여러 체크 옵션들이 있습니다. 문서 끼워 넣기 전에 한번쯤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전 문서와 현재 끼워 넣을 문서 사이에 서식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끼워 넣는 문서에서의 서식을 그대로 사용할 것인지 정할 수 있습니다

 

▼ 아래 그림과 같이 커서가 위치한 곳에 다른 파일에 있던 내용이 추가가 됩니다. 아쉬운 것은 추가하고 싶은 한글 파일의 멀티 선택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파일이 많은 경우 하나씩 선택해서 추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출처: https://mainia.tistory.com/2177

728x90
728x90

 삽입 > 빠른 문서 요소 > 필드

 

SEQ 구역명 \* MERGEFORMAT 

728x90
728x90
  1. 삽입 탭을 선택합니다.
  2. 개체 를 선택하여 드롭다운 메뉴에서 파일의 텍스트 를 선택합니다.
  3. 현재 문서에 병합할 파일을 선택합니다. Ctrl 을 누른 상태에서 두 개 이상의 문서를 선택합니다.
  4.  참고
  5. 문서는 파일 목록에 표시되는 순서로 병합됩니다. 다른 순서를 사용하려면 각 파일을 원하는 순서로 개별적으로 선택하고 삽입합니다.
728x90
728x90

word, excel 뉴라인 줄바꿈 엔터키 변경

 

엑셀 - 찾을 내용에서 [Ctrl + J] 를 눌러줍니다. (입력란에는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습니다.)

SUBSTITUTE(A2, CHAR(10), ", ")

 

워드

탭이나 특수문자를 찾는 방법입니다.

꺽쇠(^)를 영소문자와 함께 붙여서 찾기를 하거나 바꾸기를 할 수 있으니 워드 사용에 활용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검색 문자열
검색
^l (소문자 L)
수동 줄 바꿈
^p
단락 나누기
^n
열 나누기
^m
수동 페이지 나누기
^b
섹션 나누기
^t
탭 문자
^w
White space (space or tab)
^s
Nonbreaking space
^~
Nonbreaking hyphen
^-
Optional hyphen
^=
En dash (–)
^+
Em dash (—)
^^
Caret (^)
^%
Section symbol (§)
^v
Paragraph symbol (¶)
^?
Any character
^$
Any letter
^#
Any digit
^e
Endnote mark
^g
Graphic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