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실무에서 서버간 연동작업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방화벽을 서로 오픈하게 된다.

송신서버는 OUTBOUND, 수신서버는 INBOUND를 오픈하여 통신을 하게 되는데 통신오류가 발생하면 원인을 찾기가 쉽지 않다.

이럴 때 간단한 cmd 명령어를 통해서 통신상태를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telnet

 

telnet 명령어는 본래 원격지의 호스트에 접속하여 컨트롤 하는 것이 목적이나 패킷을 암호화 하지 않고 보악에 취약하므로 원격 컨트롤 보다는 단순히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목적으로 많이 쓰인다.

 

telnet IP PORT

-서버에 원격 접속 시도

-ex. telnet 210.89.189.110 443

 

 


netstat

 

netstat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신  상태를 보여준다.

 

netstat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ex. netstat -an|find "IP:PORT"

 

 

 


telnet + netstat

 

telnet과 netstat을 동시에 사용하여 특정 원격서버와의 네트워크 통신 상태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방화벽 확인)

 

1. cmd창을 두개 실행한다.

2. 1번창에 telnet IP PORT 를 입력

3. 2번창에 netstat -an|find "IP:PORT" 를 입력

4. 순서대로 실행(Enter)

5. netstat(2번창)을 통해서 telnet(1번창)의 결과를 확인

 

telnet 명령어를 실행하는 1번 창
netstat 명령어를 실행하는 2번 창

 

- SYN_SENT : 신호 보냄 (상태가 지속되다가 연결이 끊길 경우 송신은 성공했으나 수신서버의 INBOUND 방화벽이 막혀있을 확률이 높음)

- ESTABLISHED : 연결 성공

- telnet(1번창)이 바로 연결 실패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없다면 송신서버의 OUTBOUND 방화벽이 막혀있을 확률이 높다.

 

 

 

 

 

예를들어 우리서버에서 거래처서버로 접속을 위해서 방화벽 오픈이 필요하고 할때, 우리서버는 분명 OUTBOUND방화벽을 오픈했는데 접속이 안되고 있고 거래처는 INBOUND방화벽을 오픈했다고 우기고 있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보통 위 결과만 보여줘도 대부분의 서버 관리자는 수긍하고 내부 방화벽을 다시 확인해 준다.

이런경우 99%는 거래처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분석툴로 패킷을 분석해보면 내부 어느 장비에서 방화벽이 막혔있고  방화벽을 열어주면 정상적으로 통신이 된다.

요청을 할 때는 작은 근거라도 있어야 하는데 그럴때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단, 간~혹 고객사서버에서 예외적으로 telnet만 차단해놓은 경우가 있을 수는 있다. 또는 telnet대신 ping을 쓰는 사람도 많은데 ping은 네트워크공격의 위험성 때문에 더더욱 차단해놓는 경우가 많으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그리고 telne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기능이 추가되어 있어야 한다.

 

 

 

출처: 실무에서 telnet 명령어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방화벽 확인하는 방법

728x90
728x90

touch 명령어

linux 환경에서 각 파일들의 수정일자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할때 touch 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windows 에서 touch 명령어

windows 환경에서는 touch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copy 명령어를 활용하도록 한다.

원하는 폴더로 가서 아래의 명령어를 친다.

 

copy /B .\*.* +

 

copy /B 파일명 +

 

위의 명령어를 치면 폴더내의 *.* 의 최종 수정일자가 최신으로 변경된다.

각자 필요에 맞게 dos cmd 를 적절히 짜서 해당 명령어를 수행하면 될듯

 

출처: https://xenostudy.tistory.com/240

728x90
728x90

GPT 보호 파티션 상태

 

 

하드디스크 추가 후 디스크관리에서 GPT 보호 파티션으로 잡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상태로 초기화나 포맷을 진행할 수 없다

 

 

 

Diskpart 명령으로 클린 포맷 방법

 

 

CMD 명령 창에서 diskpart 명령어를 입력한다

 

 

 

 

DISKPART 콘솔이 표시되면

 

 

① list disk 를 입력하여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목록을 확인한다.

 

② lisk disk 명령에서 나온 디스크중에 포맷할 디스크 번호를 확인해 'select disk 번호'를 입력한다. 나의 경우는 첫 번째 디스크를 클린 포맷할 예정이므로 select disk 0을 입력했다

 

③ detail disk 명령으로 선택한 디스크가 정말 내가 클린 포맷할 디스크가 맞는지 상세정보를 확인한다.

※ 포맷할 것이므로 디스크 모델명을 확인해 확신을 가질때 아래 명령어를 진행한다.

 

④ select 한 디스크가 맞으므로 clean 명령어를 입력해 클린 포맷을 한다. (금방 끝난다...)

 

⑤ Diskpart 콘솔에서 나가기 위해 exit를 입력한다.

 

 

 

 

 

 

 

 

 

Diskpart로 클린 포맷이 끝나면 디스크관리에 하드디스크가 초기화 안됨과 할당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된 것이 확인된다

이제 초기화 후 할당을 하면 디스크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출처: https://www.ihee.com/508

728x90
728x90

파일 목록 생성

 

tree /f /a > filelist.txt

728x90
728x90

특정 날짜 이후 변경 파일 복사

/s : 서브디렉토리 포함

/d : MM-DD-YYYY

xcopy  소스 타겟 /s /d:MM-DD-YYYY

728x90
728x90

컴퓨터 Serial No 조회

wmic bios get serialnumber
wmic csproduct

728x90
728x90

현재 설치된 윈도우 키 Serial No 조회

reg query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SoftwareProtectionPlatform" /v BackupProductKeyDefault

728x90

+ Recent posts